주식 차트에 대한 기초 정보
'차트'를 읽어봅시다.
차트?
네, 차트요.
차트라......
자고로 차트라함은
주식을 배울때 가장 많이 포기하는 파트입니다.
학창시절에도 보기 싫었던 그래프들과
뭐가 오르면 뭐가 내리고
거기에 보기싫은 선들도 많고
보기만해도 머리아파서 많이들 하차합니다.
왠지 저도 이 글이 마지막이 될 수도 있다는 불길한 예감이 드네요.
* 주의
차트는 정답이 없습니다.
그냥 확률이 조금 더 높을 뿐이지 당연히 올라!! 하는 건 위험합니다.
차트는 언제까지나 '보조지표'나 '참고자료'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닙니다.
제일 중요한 건 주식의 상황입니다.
그럼 시작합시다.
'차트'는 '주식의 꽃'입니다.
왜 차트를 보는게 봐야하는가?!
예를 들어봅시다.
한 축구팀이
1시즌 승-승-승-패
2시즌 승-승-승-패
3시즌 승-승-그 다음은?
이왕이면 어디에 베팅하는 것이 좋을까요?
대부분은 '승'에 걸겠지요.
물론, 거짓말 처럼 '패'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승'에 거는 이유는 전례가 있기 때문이겠죠.
어차피 할 거라면 좀 더 높은 확률에 거는 것이 좋으니까요.
주식도 마찬가지입니다.
'차트'를 보면 패턴이 있습니다.
물론, 주식시장이 한치앞도 모르는 시장이지만
이왕이면 패턴을 따라가는게 안전하기 때문에 '차트'가 중요합니다.
오늘 우리의 목표는 2가지 입니다.
1. 차트모양 이해하기
2. 차트창에서 세력찾기
이게뭐야? 눈 아파 D져
주식의 끝판왕 '차트창'입니다.
빨간색과 파란색도 보이고
그 뒤로 형형색색의 선도 보이고
아래 위로 숫자도 있고
뭐 복잡합니다.
지금부터 위에서부터 구역별로 설명해드릴게요.
차트 설정창
1. 기간별 : 일봉 / 주봉 / 월봉 / 연봉 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봉 : 하루치의 주가 변동을 막대에 표시
주봉 : 일주일치의 주가변동을 막대에 표시
월봉 : 한 달치의 주가변동을 막대에 표시
연봉 : 1년치의 주가변동을 막대에 표시
대부분 처음설정은 '일봉'이 되어 있을 겁니다.
2. 시간별 : 1분~120분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1분 : 1분간의 거래된 주식 변동을 막대에 표시
3분 : 3분간 거래된 주식변동을 막대에 표시
등등
3. 호가별 : 1틱~80틱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1틱 : 1호가별 변화
3틱 : 3호가별 변화
등등
1틱의 경우는 1호가별로 실시간으로 그래프가 만들어지므로
직선그래프로 표시됩니다.
이건 어떨 때 활용하느냐?
장타/단타처럼 주식투자의 스킬에 따라 활용도가 높은차트가 존재합니다.
예를들어, 단타를 한다면 실시간으로 주식현황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틱차트'로 많이 보겠지요.
(주가그래프창)
차트창의 핵심구역입니다.
먼저 저 막대기들을 볼까요?
양봉? 음봉?
사실 막대에 모양도 많고 이름도 많지만,
지금 그걸 다 이해려면 머리가 터집니다.
제대로 이해하려면 시가와 종가를 또 자세히 설명해야 하는데
그럼 여러분 상황은
그러니까 지금은 단순하게
양봉(빨강) = 매수세가 강했다.
음봉(파랑) = 매도세가 강했다.
정도만 이해합시다.
지금은 막대의 몸통부분만 이해하지만
밑에 심화과정으로 가면 꼬리가 붙습니다.
그러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그럼 아래 그래프를 봅시다. (꼬리는 보지 마세요.)
전체적으로 매수세가 강하나요, 매도세가 강하나요?
딱봐도 빨간색이 더 많으니 당연히 '매수세'가 강합니다.
그럼 한가지 더 질문해보겠습니다.
그래프가 전체 모양이 올라가고 있나요, 내려가고 있나요?
올라가고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우리는 매수세가 강하다(빨강) = 오른다 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항상 그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매수세가 강하다는 건 오를 확률이 비교적 높다는 뜻으로 해석이 되겠지요.
이어서 막대 해석입니다.
이동평균선
막대 뒤를 잘 보면 색색의 선들이 보입니다.
얘네를 '이동평균선' 줄여서'이평선'이라고 부릅니다.
5 : 5일치 평균선 (1주)
10 : 10일치 평균선 (2주)
20 : 20일치 평균선 (1개월)
60 : 60일치 평균선 (3개월)
120 : 120일치 평균선 (6개월)
그럼 생각을 깊게 해 봅시다.
내가 A라는 주식을 선택할 때
5선이 높은주식을 선택할까요, 120선이 높은주식을 선택할까요?
당연히 최근인 5선이 높은 주식 입니다.
5선 = 최근실적
이라 이해하면 더 쉬울까요?
최근 순으로 이평선이 높아야 좋은 주식이라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위에 예시로 든 주식은 되게 좋은 주식입니다.
이를 반영하듯, 주가가 오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두둥)
위에 있어야 좋은 5선이
10선에게 추월당해 교차되며 하락한다면?
아래 막대그래프에서 보듯 그 부근에서는
주가가 하락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 구역을 죽음의 교차라 하여
'데드크로스'라고 합니다.
5선이 10선을 조금만 넘어도 주가가 저렇게 떨어지는데
5선이 그를 넘어 더 밑에있는 20선이나 60선까지 건드린다면???
주식이 바닥으로 추락하고 있을 확률이 큽니다.
반대로?
추월당했던 5선이 교차되어 다시 위로 올라간다면?
막대가 위치가 보여주 듯 주가가 올라갑니다.
이 구역을을 황금의 교차라 하여
'골드크로스'라고 합니다.
'골드크로스'가 나타나면 암울했던 주식이
회복세 분위기로 바뀔 확률이 크겠습니다.
이제 이 창이 조금 읽히는지요?
사실 저도 공부할 때마다 어렵습니다.
이걸 잘 알았으면 저도 워렌버핏 됐겠지요.
이제 마지막 창입니다.
거래량창
이렇게 막대기들이 들쑥날쑥하고 그 뒤로 거래량 이평선이 보입니다.
그럼 위에서 공부를 조금 했기때문에 예상하겠죠.
빨강 - 매수세가 강했다
파랑 - 매도세가 강했다
맞지? 맞지!!!!!!
놉!!!!!!!!!!!!!
?? (띠바....)
힝 속았지?
거래량 그래프가 빨강 = 어제보다 거래량이 늘었다
거래량 그래프가 파랑 = 어제보다 거래량이 줄었다
(아닌 곳도 있어요)
아놔 진짜..............
잘있게들....☆★
주식에서 거래량은 많으면 좋습니다.
아무리 좋은 주식이라도 거래가 미비하면 팔고 싶어도 체결이 안 되기 때문입니다.
생각을 해보십시오.
줄이 길~게 늘어진 맛집에 자리가 났습니다.
그럼 그 옆 식당을 가기보다는 맛집으로 가겠지요.
주식도 똑같습니다.
인기가 있어야 거래도 되고 수익도 잘 만들어집니다.
주의할 점은, 거래량이 없는 주식의 경우
세력들이 물량을 사고 팔기를 반복하며
거래량을 많아보이게 조작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왕 주식을 살 거라면
1. 큰 시총규모 (못해도 3000억 이상)
2. 탄탄한 재무제표 (매출이 꾸준하게 늘고 수익이 나는)
3.높은 거래량 (투자자에게 가치를 주는)
을 가진 기업을 찾는 걸 추천합니다.
자 다시 거래량창으로 가면
그런데, 낮은 곳에서 평탄하던 거래량이 유독 눈에띄게 오른 구역이 보입니다.
그럼, 의심을 해 볼 만 합니다.
이렇게 무지막지한 거대 물량을 만들 수 있는 집단은?
'세력'들입니다.
이날 세력이 있었구나!! (의심)
만약 저 거래량이 터진 날 매수세가 강했다면
세력이 대량매물을 샀다는 이야기가 되기 때문에
다음날 주가는 오를 확률이 큽니다.
반대로 거래량이 터진 날 매도세가 강했다면?
세력이 대량매물을 팔았다는 이야기가 되기 때문에
다음날 주가는 내려갈 확률이 큽니다.
그럼 거래량이 터졌던 날 어떤 세력이 강했는지 다시 볼까요?
행운의 레드+레드의 조합 입니다.
매수세가 강함 + 거래량이 터졌다 = 주식이 오름
다음날 주식이 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차트가 간단하다면 실망이겠지요.
이 기본적인 이해에서 응용이 들어갑니다.
여기서 내용을 순차적으로 심화시켜 봅시다.
2편에서 ..
https://chaecode.tistory.com/23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이해 할 수 있는 주식 선물과 ETF (0) | 2022.04.08 |
---|---|
주식 차트에 대한 기초 정보 2편 (0) | 2022.04.07 |
주식이란 무엇일까? (0) | 2022.04.05 |
서울 도심 시티뷰 카페 Best3 (0) | 2022.04.04 |
서울, 수도권 호캉스 추천 호텔 및 꿀팁 (1) | 2022.01.28 |